티스토리 뷰
목차
정부는 경제적으로 어려운 가구를 위해 다양한 복지 혜택을 제공합니다. 차상위 계층은 기초생활수급자는 아니지만 지원이 필요한 가구를 의미하며, 2025년에는 지원이 확대될 예정입니다. 차상위 계층의 기준과 혜택 변화, 받을 수 있는 지원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차상위 계층이란? 정확한 개념과 기준
차상위 계층은 기초생활수급자와 일반 가구의 중간 단계에 있는 계층으로, 정부의 복지 지원이 필요하지만 기초생활수급 기준에는 미치지 못하는 가구를 뜻합니다. 쉽게 말해,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기초생활수급자가 되기에는 소득이 조금 더 높은 경우 차상위 계층으로 분류됩니다.
2025년 차상위 계층 소득 기준
차상위 계층의 소득 기준은 중위소득 50% 이하입니다. 2025년 기준으로 가구별 차상위 계층 인정 소득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1인 가구: 월 소득 약 1,196,007원 이하
- 2인 가구: 월 소득 약 2,003,574원 이하
- 3인 가구: 월 소득 약 2,579,064원 이하
- 4인 가구: 월 소득 약 3,048,887원 이하
- 5인 가구: 월 소득 약 3,506,398원 이하
이 기준을 충족하면 차상위 계층 혜택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차상위 계층이 받을 수 있는 주요 혜택
차상위 계층으로 선정되면 다음과 같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1. 전기·도시가스 요금 감면
차상위 계층은 매달 전기 및 도시가스 요금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전기요금 감면: 월 최대 1만 원
- 도시가스 요금 감면: 동절기(12~3월) 12,000원, 비동절기(4~11월) 3,300원
2. 에너지 바우처 지원
겨울철 난방비 및 여름철 냉방비를 지원받을 수 있으며, 가구 구성원 수에 따라 금액이 달라집니다.
- 1인 가구: 31만 2,000원
- 2인 가구: 42만 2,500원
- 3인 가구: 54만 7,700원
- 4인 이상 가구: 71만 6,300원
3. 교육비 지원
대학생 차상위 계층은 국가장학금 1유형을 통해 연간 최대 70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으며, 둘째 이상 자녀는 등록금 전액 지원 혜택이 있습니다.
4. 문화누리카드 지원
1인당 연간 11만 원이 지급되며, 영화, 공연, 전시, 체육활동 등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5. 통신비 감면
기본 감면(월 11,000원) 및 통화료 35%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차상위 계층 신청 방법
- 거주지 관할 주민센터 방문 신청
- 복지로 홈페이지(www.bokjiro.go.kr)에서 온라인 신청
- 국민연금공단에서 차상위 확인서 발급 후 신청
차상위 계층 신청은 위와 같이 신청 하시면 됩니다.
2025 기초생활 수급자 지원금 조건 혜택 신청 방법은
2025 기초생활 수급자 지원금 조건 혜택 신청 방법은
2025년, 기초생활수급자 지원금 제도가 새롭게 개편되었습니다. 정부는 더 많은 국민들이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조건을 완화하고 지원금을 확대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기초생활수급자의
aprofessional-worker.com
결론
차상위 계층은 기초생활수급자가 아니더라도 다양한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중요한 제도입니다. 정부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조건을 잘 확인하고, 본인이 해당된다면 신청을 통해 혜택을 꼭 챙기시기 바랍니다.